“무주택자용 월세 지원금이 있다고 들었는데, 누구에게, 어떻게 주어지는 건가요?”
지원 규모와 조건이 지역마다 다르고, 시간적으로 일회성인 경우도 많기 때문에
“내가 받을 수 있는지,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헷갈려요.”
본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서울·부산·인천 지자체의 무주택 월세 지원 정책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정리했습니다.
지역별 조건 비교와 신청 팁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요.
2025년 무주택 월세 지원금 조건 정리
1.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 (서울주거포털)
-
대상: 서울 거주 무주택 청년 1인 가구(19~39세)
-
주택조건: 보증금 ≤ 8,000만 원, 월세 ≤ 60만 원 (조건 초과 시 보증금+월세 합산이 일정 기준 이하여야 함)
-
소득기준: 중위소득 150% 이하
-
지원금액: 월 최대 20만 원, 최대 12개월 (생애 1회)
-
선정기준:
-
임차보증금 & 월세, 소득 기준별 구간 나눔
-
구간별 전산 무작위 추첨 방식, 15,000명 규모
-
2. 부산시 청년월세 지원 (부산청년플랫폼 기준)
-
대상: 19~34세 무주택 청년(부모와 별도 거주, 청약통장 가입 필수)
-
소득기준: 원가구 중위소득 100% 이하, 독립가구 중위소득 60% 이하
-
지원금액: 월 최대 20만 원, 최대 24개월 지급
-
신청 방식: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 방문 확인 가능
3. 인천시 청년월세 지원 (인천청년포털 기준)
-
대상: 19~39세 무주택 청년 (부모와 별도로 거주)
-
지원금액: 1인당 월 20만 원, 최대 24개월까지
-
지원 종류: 국토부 ‘청년월세 한시지원(19~34세)’과
인천형 ‘35~39세 지원’ 구분 적용 -
2025년 모집 종료, 2026년 사업은 미확정 상태
지역별 요약 정리
-
서울시: 최대 20만 원 × 12개월, 중위소득 150% 이하, 추첨 방식
-
부산시: 최대 20만 원 × 24개월, 중위소득 기준 구분, 청약통장 필요
-
인천시: 최대 20만 원 × 24개월, 연령대별 나눔, 사업 연속성 미확정
Q&A: 자주 묻는 질문
Q1: 중복 신청 가능한가요?
-
대부분 지자체는 중복 수혜 중복 제외, 1회 지원 원칙으로 운영됩니다.
Q2: 청년이 아닌 일반 무주택자는?
-
지자체별로 청년 전용 정책이 주를 이루므로, 일반 무주택자는 별도 주거급여 등 확인 필요합니다.
Q3: 내 지역에 유사 정책이 있나요?
-
각 지방자치단체별 홈페이지나 주민센터를 통해 별도 신청 및 공고 여부 확인 필요합니다.
결론
무주택자 월세 지원은 지역마다 차이가 크므로, 자신의 조건에 맞는 정책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서울·부산·인천 사례를 참고해 꼭 필요한 지원, 놓치지 마세요!
-
[청년월세지원 자가진단 바로가기]
-
[주거 지원 상담 예약하기]